기타14 [Mesh] vtk 라이브러리 전 폴리곤 메쉬란 vtk 라이브러리 말고도 3D 렌더링을 해주는 라이브러리가 파이썬에는 많은 것 같다. 그건 그렇고. vtk 라이브러리 전에 간략하게 3D 데이터에 대해서 알아보자. 일단! 무엇보다도! 딥러닝 분반을 잘 골라서 수강했다는 생각이 들었다. 당시에 GNN을 처음 배웠는데 지금 하는 mesh랑 의외로 비슷하게 흘러가는 느낌이 있어서 이해하기 쉽다(고 생각한다. 실제로 정확하게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지만) 한편 아쉽기도 하다. 교수님이 조금 더 빠르게 진도를 나가셨다면 polygon mesh 에 대한 설명도 다 들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.. ㅠ 기본적으로 2D 그래프를 보자. 2D의 그래프 기본은 Node 와 Edge 다. Node 들은 Edge를 통해서 연결된다. Node 들 마다 어떤 feature가 있을 수 있다.. 2022. 1. 11. [Mesh] VTK 라이브러리 2차원 이미지를 읽을 때, 보통 opencv 나 matplotlib.pyplot을 많이 쓰곤 한다. 그렇다면 3D 이미지는 어떻게 시각화할 것인가? *시각화는 렌더링으로 표현한다 바로 이 vtk 라이브러리를 이용한다. https://vtk.org/ VTK - The Visualization Toolkit The Visualization Toolkit (VTK) is open source software for manipulating and displaying scientific data. It comes with state-of-the-art tools for 3D rendering, a suite of widgets for 3D interaction, and extensive 2D plotting ca.. 2022. 1. 10. [TIL] SGD 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 오피스 갔다와서 또 물어본 이야기 부끄러운 말이지만 논문을 그렇게 읽었지만 아직도 SGD를 이해를 못했다. 이번에 물어보면 너무너무 좋을 기회일 것 같아서 같이 물어봤다. 일단 SGD란 확률적 경사하강법인데, 난 여기서 '확률적'이라는 말을 이해할 수 없었다. SGD에서는 batch size가 1인 배치를 이용해서 총 샘플 수 만큼 iteration을 한다. 그러면 결국 계산하는 순서만 랜덤인거라는 생각이 들었다. 그래서 모든 데이터 셋을 한꺼번에 이용하느냐, 하나씩 하느냐가 다른거 아닌가 싶어서 왜 '확률적'이라는 말을 쓰는지 의아했다. 일단 내가 이해한 건 맞다. batch size가 1인 배치를 이용하는 것도 맞고, 샘플 수만큼 iteration 하고 가중치를 업데이트 하는 것도 맞다. 하지만 '확.. 2021. 10. 14. [TIL] feature map은 대체 뭘 나타내는가? 오늘은 교수님 오피스 아워 때 방문해서 여쭤보고 온 질문을 공유하고자 한다. 우선 내가 의문을 가졌던 의문 먼저 소개하자. 위 이미지에서는 vgg16의 conv 레이어를 시각화한 것이다. conv 레이어의 필터는 레이어가 깊어짐에 따라 더욱 복잡한 형태를 띄고 있음을 위 이미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. 즉 더 복잡한 필터를 통해서 이제 이미지의 본질적인, 혹은 핵심적인 특징을 잡아내는 것이다. 한편 위 이미지는 conv layer의 필터를 거친 후의 feature map들이다. 보시다시피 conv layer를 거쳐감에 따라서 점점 feature map은 interpretable하지 않은 형태를 가진다. 여기서 내가 가졌던 의문은 이것이다. filter가 더 복잡해 짐에 따라 중요한 특성을 잡아내는 것은 명.. 2021. 10. 14. 이전 1 2 3 4 다음